편입과목소개
한문
1

과목소개

check한문학이란?  

고전중국어인 한자로 쓴 작품의 총칭 및 그것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원광대, 대전대, 동국대(의학한문범주), 동의대에서 시험과목으로 재택 되었으며 몇몇 학교에서는 직접적인 시험 대신 한자 자격증을 요구합니다. 현행 편입학 시험에선 "사서 및 의학한문 범주(대전대, 동의대 기준 / 원광대 언급 X)를 평가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한의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어느 정도 한자베이스가 없다면 내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대다수가 한문 공부를 해야 합니다.

한문은 1급 한자, 문법,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의학한문, 고문진보, 한시(중국/한국), 한국한문, 교양한문, 명심보감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한문 시험에선 용법, 빈칸넣기, (사서)주자주, 내용을 이해했는지 판단하는 등의 문제가 출제됩니다.

매년 경향성이 없긴 하지만 각 학교마다 좋아하는 유형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수강하시면서 학교별 맞춤형 대비를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강사진들이 매년 편입시험에 응시하여 기출문제를 직접 풀어보고 수업시간에 녹여내어 강의하기 때문에 수업 내용이 매년 최신 기출에 맞춰 업데이트 됩니다. 수업 직후 나눠주시는 복습테스트와 불시로 진행되는 테스트를 통해 누적 복습의 효과까지 누리실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한문 과목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한자지만, 뜻이 다르거나 용법이 다른 것들을 따로 정리 하는 모의고사는 본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의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

과정소개

check논어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중의 하나인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 사후 스승과제자 사이에 오갔던 문답을 중심으로 1 편 '학이' 부터 20편 '요왈'까지 총 20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러 학자들이 주석을 달았지만 주희(주자)의 주석서가 해석의 정통적 기준이 되었고 시험에 출제되기 때문에 주자주도 같이 학습해야 합니다. 논어는 사서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이고, 주로 빈칸 넣기 및 주자주에서 출제되기 때문에 중요한 것 위주로 공부해야 합니다.

check맹자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중의 하나인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 맹자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입니다. 1 편 '양혜왕 상' 부터 14편 '진심 하'까지 총 14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송나라에 이르러 주흐|(주자)가 성리학의 관점에서 맹자집주를 지었으며, 시험에서 주자주의 비중이 크진 않습니다. 하지만 아예 출제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 위주로 암기해야 합니다. 논어와 더불어 빈칸 넣기 및 주자주, 해석하기(주관식)가 주로 출제됩니다.

check대학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의 하나인 대학은 유가의 근본 이념을 명확하고도 일관된 체계로 정립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지었다는 설이 유력하며, 송나라 주희가 자세히 해설하였습니다. <대학>은 (경) 1 장, (전) 10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삼강령, 팔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구분 하는 문제가 출제되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사서 중 양이 가장 적지만 출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주자주, 빈칸넣기, 용법 등 다양한 방식에 대비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암기해야 합니다.

check중용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의 하나인 중용은 유교의 철학적 배경을 천명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지었다는 설이 유력하며, 송나라 주희가 자세히 해설하였습니다. 총 33장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전반부에서는 주로 중용 또는 중화 사상을 말하고, 후반부에서는 (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논어, 맹자에 비해 양은 굉장히 적지만 출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주자주와 더불어 내용까지 꼼꼼히 암기해야 합니다. 주로 빈칸넣기, 용법, 주자주 등이 출제됩니다.

check고문진보

고문진보란 옛날 글을 뜻하는 '고문'과 참된 보배라는 뜻을 가진 '진보'를 합해 "옛날 글 가운데서 참된 보물만 모아둔 책"을 말합니다. 고문진보 전집에서는 중국 역대의 명시를, 후집에서는 중국 역대의 명문장을 담고 있습니다. 옛날 우리 동양의 선비들은 이 책에 적힌 것 같은 중국의 명시와 명문을 읽고 외우면서, 한문의 맛을 느끼고 한문 작문을 하는 데 길잡이로 삼았습니다. 편입시험에 한문 과목올 시행했던 학교들뿐만 아니라 원광대, 대전대에서 기출된 적 있기 때문에 중요한 단편 위주로 공부 해야 합니다.

check의학한문

의학한문은 우리가 잘 알고있는 •화타, 편작, 금원사대가' 등의 인물들이 등장하는 이야기와 유명 의가 들이 저술한 내용 등이 실려있는 책입니다. 일반적으로 한의예과 1~2학년 때 전공 및 교양 과목으로 배우기 때문에 미리 예습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동국대의 경우 한의학 시험에 '한의학한문 포망 이라고 언급되어 있기 때문에 동국대를 준비하는 학생분들도 공부하셔야 합니다.

check한시

한시란 조상들이 근대 이전에 한자 또는 한문으로 기록한 시가를 뜻합니다. 다섯 글자가 한 구를 이루는 5언시와 일곱 글자가 한 구를 이루는 7언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의 주제 및 화자의 심정 등을 위주로 이해해야 하며 이러한 소재들이 주로 출제됩니다. 특히 원광대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주의깊게 보아야 하고, 편입 한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전략적으로 해당 파트를 선택하여 공부해야 합니다.

check한국/교양한문

선조들의 삶과 사상을 담은 한문 문학의 핵심 주제들을 짧은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순, 형설지공 등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주제로 한 단편적인 글을 시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설화인 화왕계 등 한국 고전 문학을 배우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철학적 이념을 설명 하는 글과는 다르게 스토리가 있어 수강생들이 많이 흥미로워하는 파트입니다.

check명심보감

조선 시대 어린이들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한문 교양서로 쓰인 명심보감은 수백년 동안 즐겨 읽혀지면서 우리 민족의 정신적 가치관 형성에 일익을 담당하였습니다. 천명편, 언어편 등 여러 편으로 구성된 짧은 명언 형식의 글로, 정삼 이란 마음을 밝게 한다는 뜻이며, •보감| 은 보물과 같은 거울로서의 교본이 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주로 빈칸넣기로 문제가 출제되며 최근에 빈출된 파트는 아니기 때문에 편입 한문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전략적으로 해당 파트를 선택하여 공부해야 합니다.

check<중요> 각 학교별 빈출되는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전대학교: 용법, 빈칸 넣기, 해석하기 (주관식), 주자주 문제 등
동국대학교: 용법, 의학한문에서 내용을 이해했는지 판단하는 문제 등
동의대학교: 주자주, 빈칸넣기, 문법, 사자성어 문제 등
원광대학교: 1급한자(사자성어 포함), 빈칸넣기, 주자주, 문법, 해석하기(객관식》문제 등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환불정책